"NI Days 2025"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은 지정학적 긴장, 인력 및 생산 부족, 센서 융합, AI, UAM 등과 같은 신기술의 실용화로 인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NI는 자사의 플랫폼, 제품 및 솔루션을 바탕으로 테스트 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유하고 있으며, 설계, 테스트, 배포 및 유지보수 전반에 걸친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엔지니어들이 신기술을 개발, 테스트 및 유지보수하는 데 필요한 비용 효율적인 도구와 지원을 제공합니다.
Rector, Reggie, Ceri, Baskar
NI
EGSE: NI PXI 플랫폼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위성 통합 테스트 시스템 입니다. 위성 EGSE 및 위성 테스트 시장에서 소형화, 고속 데이터 수집, 실시간 신호 처리, 자동화 테스트 지원, 다목적 활용 가능성 등의 장점을 그리고 전통적인 랙 기반 계측기와 비교하여 가질수 있는 장점들에 대해 소개합니다. 또한, 디지털트윈 개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사례를 공유합니다.
SDR: SDR은 RF 및 무선 시스템을 빠르게 프로토타입화하는 데 인기 있는 도구입니다. 유연한 RF 프런트 엔드를 컴퓨팅 리소스와 결합하면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에서 실시간 OTA 테스트베드 또는 배포로 전환하는 데 이상적입니다. 이 세션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의 기본 및 적용 가능 어플리케이션 종류, NI의 SDR 포트폴리오 개요에 대해 다룹니다.
정승언 과장 & Markus Unger
NI
최근 항법시스템(송수신기)의 기술 트렌드는 다양한 위협신호로부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이 끊임없이 진행되고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및 트렌드에 대해서 선진 해외의 사례 및 신뢰성확보를 위한 최신 통합검증 솔루션에 대해서 소개를 합니다.
윤상은 대표이사
인투스페이스
"디지털 임무 공학(Digital Mission Engineering, DME)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무(미션) 환경을 모델링, 시뮬레이션, 분석 및 최적화하는 공학적 접근 방식이다. 디지털 트윈, AI 기반 분석, 시뮬레이션을 결합하여 임무 수행 시스템의 성능을 사전에 검증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 국방부(DoD)와 NASA는 DME를 "실제 작전 환경에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예측하고 검증하는 기술"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개발 비용을 절감하며, 임무 성공 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위성 링크 에뮬레이션은 지구와 우주 간 통신 환경을 재현하여 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을 검증한다. 이는 지구와 위성간의 통신환경을 구현함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NI의 PXI 및 SDR 기반 솔루션을 활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유연한 위성 링크 테스트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요구되는 임무환경에서 운영 가능한 위성 시스템의 개발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장윤혁 부장
모아소프트
Veristand 와 LabVIEW RT를 사용한 통합 HILS시스템으로, 제어기의 모사시스템 구현을 위해 구성되었습니다. 특이한 점은 일반적으로 모델용 컨트롤러와 신호 인터페이스용 시스템을 하나의 섀시로 통합하여 시스템을 단순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이동성을 향상했습니다. Veristand에 연동되는 시뮬레이션 모델은 Simulink를 비롯하여 SCAD, LabVIEW등으로 생성가능하여 알고리즘 구현이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습니다.
이창환 대표
넥시스
레이더 기술은 공중 감시, 방어, 정밀 항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 최신 레이더 시스템은 주파수 기민성, 인지 능력, 다중 모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밀한 테스트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NI의 모듈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활용한 레이더 테스트 접근 방식을 소개하고, 개별 컴포넌트부터 통합 시스템까지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최진호 과장
NI